본문 바로가기
하드웨어 능동소자

회로도에서 능동소자 찾는 법 (기호 & 위치 설명)

by Circuit DesCY 2025. 9. 20.
반응형

전자회로를 해석하거나 설계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 하나는 **회로도에서 능동소자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입니다.

트랜지스터, IC, 연산증폭기 등은 회로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그 **기호(symbol)**와 **배치 위치(position)**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회로도를 해석할 수 있도록 **능동소자 3종의 기호 형태와 위치 특징**을 정리해드립니다.

1. 트랜지스터 (Transistor)

기호 설명

  • NPN 트랜지스터: 화살표가 "밖으로" 나감 (Emitter 방향)
  • PNP 트랜지스터: 화살표가 "안으로" 들어옴
  • 보통 3단자(B, C, E)로 구성됨

회로도에서 트랜지스터 기호는 다음과 같은 모양을 가집니다:

 

 

회로 내 위치

  • 입력 신호와 출력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
  • 센서 출력 뒤, 릴레이 제어, 모터 드라이브 직전에 주로 사용
  • 베이스 단자에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트랜지스터는 회로에서 **증폭 또는 스위칭 포인트**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연산증폭기 (Operational Amplifier, Op-Amp)

기호 설명

    • 삼각형 모양으로 표현됨
    • 입력은 2개(+, –), 출력은 1개
    • 입력부는 일반적으로 왼쪽, 출력은 오른쪽

 

회로 내 위치

  • 센서 회로 다음 또는 신호 처리 회로 중간
  • 입력 전압과 기준 전압(Vref) 사이에 연결되어 있음
  • 출력에는 종종 저항이나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됨

연산증폭기는 **전압 증폭, 필터, 비교기 회로 등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합니다.

3. IC (집적회로, Integrated Circuit)

기호 설명

  •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박스 형태
  • 핀 번호가 기호 주변에 배열되어 있음 (1번 핀은 점 또는 표시 있음)
  • IC 내부는 회로도에서 생략되고 외부 핀 연결만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

IC 기호 예시:

회로 내 위치

  • 회로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음
  • 전원(Vcc, GND)과 연결된 핀이 항상 존재
  • 입력 핀은 왼쪽, 출력 핀은 오른쪽인 경우가 일반적
  • 센서 IC, 타이머 IC, 마이크로컨트롤러 등 다양하게 사용

IC는 회로에서 **논리, 타이밍, 연산,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블록입니다.

4. 능동소자 식별 팁

다음은 회로도에서 능동소자를 빠르게 찾는 데 도움이 되는 팁입니다:

  • Vcc 또는 Vin 전원선과 연결된 사각형 박스 → IC일 가능성 높음
  • 3개의 선과 방향 표시(화살표)가 있는 기호 → 트랜지스터
  • 삼각형 모양 기호 + (+/–) 입력 → 연산증폭기(Op-Amp)
  • 핀 번호가 있는 정렬된 기호 → 대부분 IC
  • 능동소자는 대체로 회로의 중앙 또는 제어 포인트에 위치

5. 능동소자 vs 수동소자 구분 팁

회로도를 볼 때 아래 기준으로 구분하면 빠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항목 능동소자 수동소자
기호 형태 삼각형, 사각형, 방향성 있음 단순 직선/곡선 (저항, 커패시터 등)
핀 수 보통 3개 이상 대부분 2개
외부 전원 필요 여부 필요함 (Vcc, GND와 연결) 불필요함
주요 역할 증폭, 제어, 생성 저장, 제한, 필터링

결론

전자회로 해석의 첫걸음은 바로 **회로도에서 능동소자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입니다. 기호의 형태, 핀 구성, 전원 연결 여부, 회로 내 위치 등을 기준으로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 IC를 구분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회로도를 많이 보고, **기호와 위치 패턴에 익숙해지면** 점점 더 빠르고 정확하게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기호는 회로의 언어이며, 능동소자는 그 문장의 동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