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논리 회로

진리표 만드는 법 – 논리 회로 해석 실전 가이드

by Circuit DesCY 2025. 9. 22.
반응형

디지털 논리 회로를 해석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진리표(Truth Table)입니다.

진리표는 입력 조합에 따른 출력 값을 정리한 표로, 논리 게이트 회로의 동작을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진리표를 쉽게 만드는 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실제 예제를 통해 논리 회로 해석 실전 감각을 길러드리겠습니다.


1. 진리표란 무엇인가?

진리표(Truth Table)는 디지털 회로에서 모든 입력 조합에 대한 출력 결과를 표 형식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AND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됩니다. 그 정보를 시각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진리표입니다.


2. 진리표 작성 순서 (3단계)

① 입력 변수 수 결정

  • 입력 변수가 2개라면 → 조합 수는 22 = 4
  • 입력 변수가 3개라면 → 조합 수는 23 = 8

② 입력 조합 나열

0과 1의 조합을 이진수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③ 논리식 또는 회로를 따라 출력 계산

논리 게이트의 동작에 따라 각 입력 조합에 대한 출력을 구합니다.


3. 예제 1 – AND 게이트 진리표

입력 A, B가 주어졌을 때 Y = A AND B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A B Y = A·B
0 0 0
0 1 0
1 0 0
1 1 1

✔ AND 연산: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 1


4. 예제 2 – 복합 논리식 해석

논리식: Y = (A AND B) OR C → AND와 OR이 결합된 회로입니다.

입력 조합 및 출력

A B C A·B Y = A·B + C
0 0 0 0 0
0 0 1 0 1
0 1 0 0 0
0 1 1 0 1
1 0 0 0 0
1 0 1 0 1
1 1 0 1 1
1 1 1 1 1

✔ 출력 계산: A·B 먼저 구한 후, 그것과 C를 OR 연산


5. 진리표 활용 팁

  • 논리식을 회로로 바꾸기 전에 진리표로 검증하면 오류 감소
  • 복잡한 회로는 부분 연산을 나눠서 중간 값 표시
  • 플립플롭, 멀티플렉서, 디코더 등 고급 회로 해석에도 기본 도구
  • 시뮬레이션 툴로 출력 검증 병행하면 효과적 (Logic.ly, Falstad 등)

6. 실전 예제 – 직접 만들어보기

논리식: Y = (A XOR B) AND (NOT C) 가 주어졌을 때, 진리표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요?

이런 문제를 스스로 풀어보는 연습이 논리 회로 설계 실력을 키우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XOR, XNOR, NAND와 같은 복합 논리 연산 진리표 해석 방법을 다룰 예정입니다.


결론

진리표는 논리 회로 해석과 설계의 핵심 도구입니다. 간단한 연산부터 복잡한 조합 회로까지 모두 **진리표로 접근하면 논리 흐름이 명확해집니다.**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입력을 이진수처럼 생각하고 차례대로 조합을 구성하면 쉽게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Circuit DesCY 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