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드웨어 능동소자/BJT, FET

MOSFET vs BJT 트랜지스터, 어떤 걸 써야 할까?

by Circuit DesCY 2025. 9. 21.
반응형

트랜지스터는 모든 전자회로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소자입니다. 하지만 막상 회로를 설계하려고 보면 “MOSFET을 쓸까? BJT를 쓸까?”라는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MOSFET과 BJT 트랜지스터의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소자를 선택해야 할지 실전 중심으로 안내드립니다.


1. MOSFET과 BJT의 기본 구조

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는 전류 제어형 소자이며, Base 단자에 전류가 흘러야 Collector-Emitter가 도통됩니다.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ET)는 전압 제어형 소자로, Gate 단자에 전압을 걸면 Source-Drain 간에 전류가 흐릅니다.

간단히 말하면:

  • BJT는 전류로 작동 (Base 전류 필요)
  • MOSFET은 전압으로 작동 (Gate 전압만 걸면 됨)

2. 주요 차이점 비교

항목 BJT MOSFET
제어 방식 전류 제어 (Base 전류 필요) 전압 제어 (Gate에 전압만 필요)
입력 저항 낮음 매우 높음 (거의 무한대)
스위칭 속도 중간 빠름
온도 안정성 낮음 (열에 취약) 높음 (열에 강함)
전력 효율 낮음 높음
제작 난이도 간단함 약간 복잡
가격 저렴 조금 더 비쌈

3. 언제 BJT를 사용해야 할까?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BJT가 적합합니다:

  • 간단한 회로에서 저전류 스위칭이 필요할 때
  • LED, 릴레이, 센서 등 소규모 제어 회로
  • 신호 증폭 회로 (아날로그용)
  • 저가 DIY 프로젝트 (교육용)

추천 부품: 2N2222, BC547, S8050

4. 언제 MOSFET을 사용해야 할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MOSFET이 더 효과적입니다:

  • PWM 신호로 모터나 LED 밝기 제어
  • 고전류 스위칭 (10A 이상)
  •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력 제어 회로
  • 고속 응답이 필요한 디지털 회로

추천 부품: IRFZ44N, IRL540N, STP55NF06L


5. 실제 사용 예시 비교

회로 선택 소자 이유
LED 스위칭 BJT (2N2222) 전류 작고, 회로 단순
DC 모터 제어 MOSFET (IRFZ44N) 전류 크고, PWM 필요
온도 센서 증폭 BJT 아날로그 증폭용
배터리 보호 회로 MOSFET 전력 손실 적고 발열 낮음

6. 선택 시 고려할 포인트

  • 스위칭인가? 증폭인가? → 스위칭 = MOSFET / 증폭 = BJT
  • 전류량이 크다? → MOSFET (전력 효율 우수)
  • 단순하고 저렴한 회로? → BJT (구하기 쉬움)
  • 소형화, 고속 응답? → MOSFET (디지털 회로에 적합)

📌 **Tip:** 마이크로컨트롤러(Arduino, STM32)와 연결 시에는 **Logic Level MOSFET**을 사용하는 것이 호환성이 좋습니다.


결론

MOSFET과 BJT는 각각 장단점이 뚜렷하며, **용도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가장 중요**합니다.

작은 신호 증폭이나 간단한 제어에는 BJT, 고속 스위칭, 고전류 제어에는 MOSFET이 더 적합합니다.

기능을 이해하고, 용도에 맞춰 정확히 선택한다면 회로의 효율성과 안정성은 훨씬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Circuit DesCY 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