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드웨어 능동소자/BJT, FET

스위칭 회로 설계할 때 꼭 알아야 할 5가지 팁

by Circuit DesCY 2025. 10. 13.
반응형

스위칭 회로는 LED를 켜고 끄거나, 모터를 제어하고,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등 전자 회로에서 매우 자주 활용되는 핵심 기술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트랜지스터를 연결한다고 해서 좋은 회로가 되진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전에서 신뢰성 높고 안전하게 작동하는 스위칭 회로를 설계하는 데 꼭 알아야 할 5가지 핵심 팁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트랜지스터의 포화 영역을 정확히 사용하세요

스위칭 회로에서 트랜지스터는 완전히 켜지거나(ON), 꺼지거나(OFF) 두 가지 상태로만 동작해야 합니다.
즉, 트랜지스터가 선형 증폭 영역에 머물면 회로가 비효율적으로 되고 발열이 심해집니다.

✔️ 해결 방법:

  • 베이스 전류를 충분히 확보해 포화 영역까지 밀어넣어야 합니다.
  • 베이스 저항 값 계산 시 IB ≈ IC / β 기준으로, 여유 있게 잡는 게 좋습니다.
  • 예: IC = 100mA, β = 100이면 IB는 1mA 이상 확보

2. **베이스 저항(Rb)**을 반드시 넣으세요

베이스 저항 없이 트랜지스터를 MCU(아두이노 등)와 바로 연결하면,
과도한 전류가 흐르거나 MCU 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추천 공식:

Rb = (Vcontrol - Vbe) / IB

  • 보통 Vbe ≈ 0.7V (실리콘 트랜지스터 기준)
  • 아두이노 출력(5V) → Rb = (5 - 0.7) / 1mA = 4.3kΩ
    → 실사용에선 1k~10kΩ 범위가 일반적입니다.

3. **프리휠링 다이오드(Flyback Diode)**는 필수입니다 (릴레이/모터 제어 시)

인덕터 부하(코일, 릴레이, 모터 등)는 전원이 차단될 때 역방향 전압(Back EMF)을 발생시킵니다.
이 역전압은 트랜지스터를 순간적으로 파괴시킬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부하 양단에 **역방향 다이오드(정류용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해 주세요.
  • 예: 1N4007, 1N5819
  • 방향: 다이오드의 캐소드가 +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

4. MOSFET 사용 시, Logic Level MOSFET을 선택하세요

일반 MOSFET은 게이트 전압이 10V 이상 되어야 완전히 켜집니다.
하지만 아두이노 같은 MCU는 5V 이하만 출력하기 때문에 일반 MOSFET으로는 포화 동작이 어렵습니다.

✔️ 추천:

  • Logic Level MOSFET을 선택해야 합니다.
  • 예: IRLZ44N, IRL540N, IRL3705
  • Vgs(th) 수치가 1~2V 이하인 제품이 적합합니다.

5. 스위칭 시 노이즈 / 오실레이션 방지 회로도 고려하세요

고속 스위칭이 일어날 때는 회로에 잡음이나 불안정한 파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대처 방법:

  • 게이트에 Pull-down 저항 (10kΩ) 추가 → MOSFET이 떠 있지 않도록
  • 스너버 회로(R+C 병렬) 추가 → 릴레이 접점 보호
  • 디커플링 커패시터 사용 → 전원 라인 안정화 (0.1uF ~ 1uF)

✅ 마무리 정리표

팁 번호 핵심 요점 실전 팁
트랜지스터는 포화 영역 사용 충분한 베이스 전류 확보
베이스 저항 필수 1k~10kΩ 범위 추천
다이오드 병렬 연결 1N4007, 방향 주의
로직 MOSFET 사용 IRLZ44N 등 추천
노이즈 대책 마련 풀다운, 스너버, 디커플링 커패시터

📎 연관 추천 글

반응형